유전자 이야기

혈관 내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DGKB 유전자

우리가 숨을 쉬는 과정에서 우리 몸속으로 들어온 산소는 산화와 대사 과정을 거치며 유해산소인 ‘활성산소’를 만들어냅니다.
활성산소는 잘못된 식습관과 스트레스, 그리고 환경오염 등의 영향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활성산소가 우리 몸에 해롭게 작용하는 상황을 ‘산화 스트레스’라 일컫습니다.
산화 스트레스는 노화와 질병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HAPPIER STORY 유전자 이야기

DGKB 유전자는 디아실글리세롤(DAG, Diacylglycerol)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효소입니다. 따라서 DGKB 유전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디아실글리세롤의 기능을 알아야 합니다.
지방은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결합한 형태로, 모노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롤, 트리아실글리세롤 세 종류로 나뉩니다. 이중 우리가 흔히 ‘중성지방’이라고 일컫는 것은 트리아실글리세롤입니다. 디아실글리세롤은 씨앗류에 10% 정도 함유돼 있으며,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식용유에도 다량 포함돼 있습니다.
디아실글리세롤은 적당히 섭취하면 혈중 중성지방을 상승시키지 않고, 신장질환을 예방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혈중 포도당량이 증가하게 되면 체내에 디아실글리세롤이 과다하게 축적되게 되고, 이들은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을 만들어 내는 원인이 됩니다. ‘당독소’라고도 불리는 당화산물은 혈관 벽이나 췌장 등에 붙어 염증을 일으키고 노화 관련 질환의 원인이 되는 물질입니다.

DGKB는 이렇게 초과되는 디아실글리세롤을 분해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DGKB 유전자 주의 타입인 경우, 디아실글리세롤의 분해속도가 늦어지고 결국 산화스트레스가 축적돼 다양한 건강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특히 혈관의 건강위험을 높이게 됩니다.
DGKB의 주의 타입인 경우 튀김류의 음식은 피하고, 가급적 기름을 적게 사용해 음식을 조리할 것을 추천합니다. 아울러 혈관 산화 스트레스의 위험이 높으므로 항산화 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